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시크리컬(경기민감주)의 종목과 투자 할때 주의사항 안내 (철강, 화학, 정유, 금융, 건설, 기계, 자동차, 반도체, 조선)

Stock Study/주식공부

by feelsit 2022. 2. 17. 17:36

본문

반응형

■ 시크리컬(경기민감주)의 종목과 투자할 때 주의사항 안내

시크리컬(경기민감주)의 종목과 투자 할때 주의사항

안녕하세요

우리나라의 대부분의 사업은 시크리컬(경기민감주)가 주식시장에서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습니다.

시크니컬 업종의 특징과 투자시 주의사항에 대해서 안내를 드리고자 합니다.

투자하시려는 종목이 철강, 화학, 정유, 금융, 건설, 기계, 자동차, 반도체, 조선 이시라면, 아래 주의사항 확인하셔서 좋은 성과를 거두기 바랍니다.

시크리컬 종목은 예외사항이 있긴 하지만, 대부분 장기투자로 적합하지 않은 종목입니다.

왜 그럴수 밖에 없는지는 아래에서 확인해보겠습니다.


목 차

  • 시크리컬(경기민감주)를 알아야 하는 이유
  • 시크리컬(경기민감주)은 무엇일까?
  •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시크리컬 업종
  • 경기 흐름에 무관한 종목들
  • 경기 흐름의 영향을 받지 않는 시크니컬 업종
  • 시크리컬 업종에 투자 시 주의사항 2가지
  • 시크니컬 업종 투자시 유의사항 결론

■ 시크리컬업종(경기민감주)을 알아야 하는 이유

시크리컬업종(경기민감주)을 알아야 하는 이유

한국은 대외 의존도가 높은 국가라고 할 수 있습니다.
대외 의존도란 국가의 수출과 수입이 차지하는 비중을 말하는데, 대외 의존도가 높다는 것은 경제에서 무역이 차지하는 비중이 높다는 뜻입니다.
우리나라 같은 경우는 수출 없이 자국민을 대상으로 사업을 꾸려나가기에는 한계가 있습니다.
이런 사유로 인해서, “미국이 재채기를 하면 한국은 감기에 걸린다” 우리나라는 글로벌 경기에 매우 민감한 경제구조를 가지고 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최근 글로벌 경기가 안 좋아짐에 따라 현재 증시가 긍정적인 표현으로 세일 중입니다.
우리나라의 주식투자자들은 한국의 경제지표만 바라보기 보다는 미국의 경제지표, 중국의 경제지표를 더 중요하게 생각해야 합니다. 왜냐하면, 우리나라의 경기가 아무리 좋아도 수출 대상의 나라의 경기가 좋지 않다면 좋은 성과를 낼 수 없기 때문입니다.
세계의 경제 흐름은 항상 높아지다가 낮아지는 사이클을 항상 가지고 있었습니다.
코로나 팬데믹이 시작되었을때 처음에는 이런 안 좋은 주가가 오래갈 것이라 예상했으나, 엄청 빠르게 회복하고 오히려 더 높은 주가 상승을 가져오는 결과를 보여주기도 했죠.

그리고 더 높이 올라갈것같던 주가는 금리인상 및 러시아 VS 우크라이나 사태로 반대방향으로 많이 내려와 있는 상황입니다.
이게 특별한 것이 아닙니다. 지난 시장 경기에 대한 역사를 살펴본다면 이런 높아지다가 떨어지는 주가 흐름은 계속되어왔고, 주식은 언제나 고정된 값을 가지고 있지 않았습니다.
투자자들은 시장을 바라보는 시각이 모두 주관적으로 보기 때문에 시장에서는 별다른 이슈가 없더라도 주가는 항상 높고 낮음을 반복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일정한 주기를 가지고 주식시장의 호황과 불황을 반복하는데 이를 경기 사이클이라고 합니다.
이러한 경기 사이클에 민감하게 반응하는 회사의 주식을 주식시장에서는 시크리컬(경기민감주)이라고 부릅니다.

 

■ 시크리컬(경기민감주)은 무엇일까?

시크리컬(경기민감주)은 무엇일까?

시크리컬(Cyclical)은 사이클을 타는 업종이라는 의미입니다.
경제상황에 따라서 실적이 상승하기도 하고 하락하기도 합니다.
경기가 좋아지면 매출이 증가하고 이익도 증가하면서 주가도 상승하고,
경기가 나빠지면 매출이 감소하고 이익도 감소하면서 주가도 하락합니다.
이런 주식들은 기업의 실적과 주가가 연동되는 구조를 가지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여름에는 수영복을 만드는 회사는 판매량이 늘어서 실적이 좋아지지 만 겨울에는 좋은 성과를 내기 어렵죠
반대로 겨울 아웃도어 브랜드는 겨울에는 실적이 좋고, 여름에는 상대적으로 낮은 성과를 냅니다.
그렇기 때문에 수영복 회사는 여름에 주가가 높고, 아웃도어 브랜드 회사는 겨울에 주가가 높아집니다.

 

■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시크리컬(경기민감주)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시크리컬(해운사, 조선사)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시크리컬에는 해운사와 조선사로 볼수 있습니다.
글로벌 경기가 좋아진다면 배가 많이 필요해집니다.
대부분의 수출은 배로 많이 수출하기 때문이죠. 그래서 경기가 좋아지면 해운사와 배를 만드는 조선사의 실적이 좋아집니다. 하지만 글로벌 경기가 위축된다면, 무역 자체가 줄어들기 때문에 배가 필요 없어지게 됩니다.
그렇기 때문에 선박을 통한 운송으로 이익을 내기 어려워지고, 수출을 위한 배 제작 발주가 줄어들기 때문에 실적이 안좋아 지는 구조입니다.
조선과 해운뿐만이 아니라 철강, 화학, 정유, 금융, 건설, 기계, 자동차, 반도체 등도 대표적인 시크리컬 업종입니다.
이런 시크리컬 종목들은 경기가 좋아지면 매출도 증가하고 이익도 증가하는 구조를 가지고 있습니다.
한국증시 대부분의 종목은 글로벌 경기가 좋을 때 주가가 상승하는 시크리컬 비중이 매우 높습니다.
우리나라에서 시크리컬 종목이 차지하는 비중이 무려 70%에 달합니다. (IT 30%, 자동차 철강, 조선 등 40%)
그래서 글로벌 경기가 안좋아지면 주가가 급감하는 경향을 나타냅니다.

 

■ 경기흐름에 무관한 종목들

경기흐름에 무관한 종목들

최근에는 2020년 코로나19로 인하여 언택트(비대면) 관련 기업들의 주가가 급등하면서 시크리컬 비중이 축소되고 있는 추세입니다.
코스피 시가총액 10위 안에 있는 기업 중에서 네이버, 카카오, 엔씨소프트, 삼성바이오로직스, LG화학, 셀트리온, 삼성 SDI는 글로벌 경제상황과 무관한 기업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이런 종목들의 특징은 경기가 좋지 않더라도 사람들은 카카오톡을 사용하고, 온라인 게임을 즐기며, 약을 먹고, 전기차를 구매하기 때문입니다.
이런 종목들이 주식시장에 많아질수록 증시가 안정적으로 되기 때문에 장기투자에도 유리해집니다.
이런 기업들은 시장 지배력을 높이면서 동시에 경기와 무관하게 성장을 지속하기 때문에 장기투자에 적합한 종목이라고 할수 있습니다.
하지만, 보유하신 종목이 시크리컬에 해당하는 주식이라면 매수시점과 매도시점을 정해서 운영해야 하는 종목임을 잊지 말아야 합니다.
시크니컬 종목을 보유하면서, 미래에 좋은성과가 나타날 것이라고 생각하고 오래 가지고 있다면, 주가의 높은 변동성으로 인해 최종에는 주가가 상승하는 결과를 보여주더라도 주식창을 바라보면서 천국과 지옥을 왔다 갔다 하는 경험을 하게 될 것입니다.
그러므로 내가 보유한 종목이 시크니컬 종목인지 확인이 꼭 필요합니다.

그리고, 경기의 사이클은 언제나 반복되기 때문에 시크니컬 종목들은 무작정 장기투자를 하면 큰 손실을 볼 수 가능성이 있습니다. 이점을 유의해주세요

 

장기투자 종목으로는 지수에 투자하는것이 더 좋습니다.

개인적으로는 미국 S&P 500 지수를 추천드리며 비교 분석 내용은 아래를 참고하세요

 

S&P 500 추종 ETF 비교 분석(SPY ETF, VOO ETF, IVV ETF, TIGER, KODEX, KINDEX)

 

미국, 국내 S&P 500 추종 ETF 비교 분석(SPY ETF, VOO ETF, IVV ETF, TIGER, KODEX, KINDEX)

안녕하세요 미국 S&P 500 지수를 추종하는 ETF가 정말 많습니다. 미국만 해도 대표적인 SPY, VOO, IVV ETF 가 있고, 국내에서도 미래에셋 타이거(TIGER), 삼성투자증권 코덱스(KODEX), 한국투자증권 (KINDEX)등

remarkble.tistory.com

 

미국 S&P500 ETF 투자는 어느시점에 매수하는 것이 가장 좋을까?

 

미국 S&P500 ETF 투자는 어느시점에 매수 하는것이 가장 좋을까? 투자타이밍 분석(VOO ETF, SPY ETF, KODEX

■ 미국 S&P500 ETF 투자는 어느 시점에 매수하는 것이 가장 좋을까? ■ 투자타이밍 분석 - VOO ETF, SPY ETF, KODEX ETF, TIGER ETF, KINDEX ETF 안녕하세요. 이 포스팅을 확인하신 분은 미국 지수에 S&P500지수..

remarkble.tistory.com

 

 

■ 경기흐름의 영향을 받지 않는 시크니컬 업종

 

경기흐름의 영향을 받지 않는 시크니컬 종목

시크니컬 종목에도 불구하고 좋아지고 있는 사업도 있습니다.
최근 우리나라의 반도체 사업은 삼성전자, SK하이닉스, 마이크론이 전 세계의 D램 시장을 거의 독점하다시피 하면서 과거와 달리 사이클의 영향이 많이 줄어들었습니다.
예전에는 경기 흐름에 따라 흑자, 적자를 반복했었던 반도체 D램산업은 현재 삼성전자, SK하이닉스, 마이크론 3개 업체의 생산량에 따라서 가격이 결정되기 때문에 경기가 좋아지지 않더라도 적자를 내지 않는 산업이 되었습니다.
현재는 반도체 공장에 불이나면, 공급이 줄어들게 되고 반도체 가격이 상승하여 오히려 불 나기 전보다 수익이 더 좋아지는 웃지 못할 상황이 나타나고 있습니다.
이런 사유로, 공장에 불이나면 손익이 좋아지니 이익이 떨어지면 돌아가면서 불을 내야 하는 거 아니냐는 우스갯 소리까지 나오는 상황이니 일반적인 시크니컬 종목으로 바라보기는 조금 어려워진 측면이 있습니다.

그럼에도 시장의 영향은 일부 존재한다는 점을 잊지 말아야 하며,

철강, 화학, 조선, 건설, 금융 등 대부분의 시크리컬 업종들은 글로별 경기의 사이클에 따라 주가의 등락이 여전히 반복되고 있습니다.

■ 시크리컬 업종에 투자시 주의사항 2가지

시크리컬 업종에 투자시 주의사항 2가지

첫째, 달러가치가 떨어질 때를 확인
원달러환율이 하락하는 추세에 있을 때 시크리컬 종목에 투자하셔야 유리합니다.
환율이 하락한다는 것은 원화의 가치가 높다는 것이고, 달러의 가치가 낮아지고 있다는 의미입니다.
달러의 가치가 떨어질때 글로벌 경기가 대부분 좋았습니다.
경기가 불안정할수록 많은 국가들은 자국의 돈보다는 달러를 보유하려고 하기 때문에 달러의 가치가 높아지는 경향이 있습니다. 이런 사유로 글로벌 경기가 좋아져야 시크리컬 종목의 이익도 개선될 것으로 예상하기 때문입니다.

 

둘째, 유럽연합(EU)의 경기가 회복 시점 확인
EU의 경기가 회복되는 추세일때 시크리컬 종목에 투자해야 합니다.
우리나라의 글로벌 교역량의 많은부분을 EU가 많이 차지하고 있습니다.
EU의 경기회복이 되면 글로벌 경기도 많이 좋아지는 추세가 있기 때문에 지켜볼 필요가 있습니다.
최근 한국의 시크리컬 업종이 2018년부터 부진한 이유 중의 하나가 EU의 경기부진으로 바라보는 시각도 있습니다.
EU의 경기가 회복되고 뉴스가 있거나 증권사 리포트가 나올때 투자를 고려해보실 필요가 있습니다.

 

■ 시크니컬 업종 투자 시 유의사항 결론

시크리컬 사업으로 분류되는 철강, 조선, 화학, 건설, 자동차, 금융주식들은 경기 흐름의 사이클에 영향을 많이 받는 주식들입니다.
경기의 흐름에 따라서 상승과 하락이 반복되는 종목들이기 때문에 장기 투자보다는 타이밍을 맞춰서 투자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달러의 환율 흐름과, EU의 경제상황을 확인하시고 투자가 필요한 종목들입니다.
주가가 떨어졌다고 무조건 달려들기보다는, 달러 환율과 EU(유럽연합)의 경제상황을 먼저 확인하시고 투자 결정이 필요합니다.

 

 

아래 글도 확인하시면 투자하시는데 도움 되실 겁니다.

 

ISA 계좌 가입 시 꼭 알아야 할 단점 5가지

 

ISA 계좌 가입 시 꼭 알아야할 단점 5가지

■ ISA 계좌 개설 시 꼭 알아야 하는 단점 5가지 안녕하세요 ISA 계좌 가입(개설) 시 알아야 할 단점 5가지를 정리하였습니다. ISA 계좌가 만능인것처럼 언론에서 자주 등장하고 있습니다. 이 상품은

remarkble.tistory.com

 

국내 및 미국의 ETF 투자를 추천하는 이유와 필수 정보(레버리지, 인버스, 세금 등) 총 정리!!

 

국내 및 미국의 ETF 투자를 추천하는 이유와 필수정보(레버리지, 인버스, 세금등) 총 정리!!

■ 국내 및 미국의 ETF 투자를 추천하는 이유와 필수 정보 정리 안녕하세요 초보 주식투자라면, ETF투자가 유리하다는 이야기를 많이 들어보셨을 텐데요 국내에서 투자를 하던가 미국 직접투자를

remarkble.tistory.com

 

반응형

관련글 더보기

댓글 영역